내부를 통과하기
통로는 지점과 지점을 연결하는 흐름의 역할을 하는, 머무르지 않는 장소이다. 중심도 외곽도 아닌 중립적인 장소인 통로는 언제나 유동적인 가능성으로 어디로든 열려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하철은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거대한 통로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하철 역사 내부를 모형으로 만들어 작업한 결과물을 보여준다.
출구 번호와 지역, 관공서나 학교의 이름, 평면도와 지도 등 기호와 상징의 도움으로 목적지를 결정해야하는 그 곳에서 나는 길을 잃을 것 같아 늘 긴장한다. 갈림길마다 갈등하고 판단하고 선택하기를 반복해야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출구와 복도,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들의 숲을 망설임 없이 빠르게 지나는 사람들은 나를 제외하고 모두 그 곳을 아주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어지러운 공간으로 들어가 낯선 이들과 같이 걸을 때 나도 그들의 일부라는 약간의 안도감을 느낀다. 그리고 동시에 그들 중의 하나일 뿐이라는 절망이 스친다.
가끔은 이 모든 혼란을 통과하여 이르게 될 지상의 목적지가 정말 있는 걸까를 의심한다.
확신할 수 없는 다음 목적지를 위해 다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지하의 통로는 그 어떤 목적지보다 가깝고 빈번한 현실이다.
이번 작업은 출구와 출구 사이를 이동하는 나의 물리적, 심리적 여정을 그린 것이다.
갤러리룩스의 전시 공간은 두 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2층에는 프린트와 동영상을 이용하여 출구와 복도의 풍경을 스케치한 작품을 설치하였다.
3층은 하얀 방 중앙에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오브제가 걸려있는 공간설치 작업으로 구성하였고 내부와 외부의 소리가 교차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중앙의 작품 제작과정에서 나는 아크릴표면을 가는 소리와 지하철역 출구에서 들리는 소음을 각각 내부와 외부의 소리로 설정하여 3층 전체를 흐릿하고 모호한 경계 혹은 경계 바로 아래의 공간으로 표현하였다.
Passing through the Inside
A passageway plays a role of flow connecting points to points, and is a place where people do not stay. The passageway, a neutral place that is neither the center nor outside, does look open to anywhere always with fluid possibilities.
A subway is a grand passageway connecting areas.
In this exhibition, the works on the model of the inside of a subway station are displayed.
I am always nervous lest I get lost in the subway station where I have to decide the direction with the help of codes and symbols such as exit numbers and areas, the names of public offices and schools, plans and maps, and so on. It is because I have to repeat hesitating, judging and selecting at every crossroad.
It looks as if people who pass through the forest of numerous exits, corridors, stairs and escalators without hesitation know the place very well except myself. When I enter such a complicated space and walk with strangers, I feel slightly comfortable as though I am a part of them. At the same time, a despair comes through that I am just the one of them.
Sometimes I suspect if there really is an overground destination that I will reach after going through all this chaos.
The underground path where I have to return to for the next destination that I am unsure of is a closer and more frequent reality than any destination.
This work depict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journey of myself who moves between an exit and another exit.
The exhibition area of the Gallery Lux is divided into two floors.
On the second floor, I installed the works that sketched the scenery of exits and corridors using prints and videos.
The third floor is composed as a space installation work where objets allowing to look inside are hung at the center of a white room, and the sounds crossing from the inside and outside may be hear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ork installed at the center, I have set the sound of scratching the acrylic surface and the noise heard at exits of a subway station as the sound of inside and outside, respectively, to express the entire third floor as a blurred and ambiguous boundary or a space just below the bound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