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의 단서들
도시는 길들의 미로이다.
내가 태어난 곳은 한창 확장을 거듭하면서 촘촘하게 네트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미로 내부였다. 처음으로 복잡한 구조의 길을 익히고 목적지를 향해 혼자 이동을 시도했던 합정동
지금은 일치하는 번지수도 집도 사라졌지만 길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
유치원은 골목의 오른쪽 끝에서 모퉁이를 돌아 비교적 좁은 차도를 건너고 버스가 다니는 큰 차도를 따라 언덕길을 꽤 걸은 후 또 다시 길을 건너야 하는 곳에 있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그렇듯 나도 걸어서 10분 남짓한 길의 정보를 체험으로 익혔다.
지도와 온갖 숫자의 정보 없이도 미로에서 처음으로 경로를 구성하는 것에 성공했던 것이다.
완벽하게 체계적이기 위해서 데이터에 데이터를 더하여 분류하고 종합하고 또 다시 분류하는 세계에도 아직 추적이 불가능한 개인의 기억 회로 안에는 또 다른 공간과 경험이 있다.
개인의 서사가 곧 인간의 개별적이고 고유한 가치를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그 모든 의미들의 집합이 도시를 움직이는 것이다.
전시 ‘경로의 단서들’은 앞으로 계속 이어갈 ‘도시-미로’주제 작업의 도입부이다.
도시는 하나의 거대한 미로이며, 도시를 구성하는 길을 통로로 보는 나의 관점에 대한 첫 번째 이야기를 담는다.
유년의 기억 속에 있는 첫 길 찾기와 여러 번의 이사로 낯 선 도시 구조 안에서 내 고유한 경로를 만들었던 기억을 소재로 하였다.
몇 번의 경험을 통해서 길을 기억하는 나름의 방법을 터득하고 나서는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벗어났다. 모퉁이, 교차로, 건물의 높이나 색깔, 도로의 포장 상태 같은 정보들이 모여 경로를 결정했다. 처음에는 모험이었던 길 찾기가 반복할수록 고정된 패턴으로 각인되어 일상이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 속에 갇혀있다 가끔 환영처럼 떠오르는 이미지로 변했다.
길을 찾는 것이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닌 지금도 골목의 기억은 떠오를 때마다 다시 그 자리로 나를 불러간다. 수 없이 그 자리에 서 봤음에도 처음인 것처럼 골목이 끝나는 곳에서 두리번거리며 망설이게 한다.
보이지 않는 방향을 결정해야하는 순간 나는 첫 번째 미로의 경험을 모든 길 찾기의 원형처럼 떠올리고 되돌아가기를 반복했다.
원형은 복제되어 증식하고 결합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미로를 만들어 왔다. 길을 되짚어 돌아가 출발점으로 기억되는 곳에서부터 경로의 모습을 관찰해 보았다.
내 기억의 파편들과 실재하는 길의 모습, 길을 인지하는 시청각적 방법을 수집하여 물리적이고 동시에 심리적인 미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
2020.03
Clues on Paths
A city is a maze of roads.
The place where I was born was inside a maze that was building up networks densely, repeating expansion in earnest. Hapjeong-dong where I acquainted myself with complex structured roads for the first time and attempted to move to destinations alone.
Now, the house and the house number disappeared; however, the roads remain not much changed.
To get to my kindergarten, I had to turn the corner at the right end of the alley, cross a relatively narrow driveway, walk the sloping road along a big driveway where buses ran for a while and then cross another road.
Like most children, I learned information on the road less than 10 minutes on foot by experience.
For the first time, I succeeded in composing a path in a maze without maps and any sorts of numeric information.
In the world that classifies, synthesizes, and categorizes data added to data again to be completely systematic, too, there are still different spaces and experiences in the personal memory circuits that cannot be traced.
I think that a personal narrative means the man’s individual and unique values. Consequently, the set of all its meanings moves the city.
The Exhibition, “Clues on Paths” is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work with the theme “City-Maze” I will continue.
I tell the first story about my view of a city as a large maze and the road that makes up the city as a passage.
This work was based on my first pathfinding in my childhood memory and the memory in which I created my own path in unfamiliar city structures because my family moved several times.
I got out of the fear that I might be unable to arrive at the destination after I learned my own way of remembering the path through several experiences. Information such as the corners, crossroads, the height and color of the buildings, and the pavement condition of the roads, were gathered to determine the path. As path-finding that was initially an adventure repeated, it became stamped as a fixed pattern and became routine, and it was transformed into an image that has been stuck in the memory and sometimes struck like a vision as time passed by.
Even now when pathfinding is not something special anymore, the memories of the alley bring me back to the place whenever I recall them. It makes me look around and hesitate at the place where the alley ends, as if it were the first time, though I have stood there, numerous times.
When I had to decide the direction for the place I could not see, I repeated recalling the first experience of the maze and going back like the archetype of all pathfinding.
The original has been replicated, multiplied, and combined to create a new maze. I observed the look of the path from the place I remember as the starting point, retracing the steps.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points where the maze crosses, which i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imultaneously, collecting the fragments of my memory, the look of the actual roads, and the audiovisual methods to perceive the way.
March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