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로로서의 계단

2013

 

건물의 일부이면서도 방화문으로 닫혀있는 비상 계단실은 독립된 다른 영역으로 느껴진다.

그곳은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완충지대이기도 하고 출구와 입구이기도 하다. 내부라고 하기에는 멀고 외부라고 하기에도 모호한 인적 없는 울림의 공간은 항상 가까이에서 비상시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간혹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해야 할 때가 있다. 대체로 누군가와 마주칠 일이 드문 그 공간에 들어서서 걷다 보면 내가 어디 있는지 가늠하기가 어려워진다. 똑같은 계단 구조가 층층이 싸여 반복되어진다. 좁은 공간 안에 빡빡하게 들어차 있는 동일한 구조의 단단한 실체가 온몸으로 느껴지고 무한할 것 같은 반복의 압박이 끝나기를 바라게 된다. 비상시에 일어날 것 같은 현기증과 비현실적인 기대와 절망이 느껴지는 중간 지대를 지나 어떤 지점에 도달하지만, 또다시 그 통로를 통해서만 돌아올 수밖에 없는 곳에 나의 집이 있다.

 

나는 도달해야 할 곳과 돌아 가야 할 곳, 출구와 입구, 좌절과 희망, 증오와 사랑이 모두 대치하며 평행하게 늘어서 있는 통로를 매일 오간다.

 

 

Staircase as a Passage

2013

 

The emergency stairs that is part of a building cut-off with a fire-door is felt as an independent area.

The place is a buffer-zone bridging interior to exterior as well as an entrance or exit. The space of resonance without the presence of people is too far to define as interior and too vague to define as exterior. The space always stands by for an emergency.

 

There are times when we have to take the stairs instead of the elevator. When ascending or descending the stairs, space I rarely meet someone, it becomes difficult to guess where I am. The same structure of the stairs is repeated in layers. The solid substance of the same structure jam-packed in a small space is sensed through my whole body, and makes me wish the oppression of this seemingly endless repetition would come to an end. After passing the middle-zone where I feel some dizziness, unrealistic expectation, and despair, I arrive at some point. But, there is my house to which reach by going through the passage again.

 

I come and go everyday through the passage where the place I have to reach and return, entrance and exit, frustration and hope, hate and love are all in parall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