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1996-2001

1996년경부터 시작된 내 작업의 기본적 motive는 인간의 내면에서 늘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갈등이었다. 내 안의 심리적 통로에서 이 끝과 저 끝으로 끊임없이 배회하면서도 선뜻 어떤 문으로도 나가지 못하고 경계 안에 머물게 하는 갈등. 갈등은 또 다른 갈등을 낳고, 낳고…

결국, 광활한 영역이 되어버린 경계의 세계는 수 없는 출구로 이루어진 미궁이 되었다. 그것은 빨강과 파랑의 극적인 색깔 대비, 수면이나 거울의 표면을 경계로 하는 이편과 저편의 나열 형식으로 자주 표현되어왔다. 반대색의 대비, 물(수면), 문들은 내 작업에서 나타났다 사라졌다 또 나타나기를 반복하는 갈등을 대변하는 기호들이다. 나는 이 기호들로 내 경계의 풍경을 그려왔다.

 

 

Work 1996-2001

Since around 1996 I began to take the motif of my work from all the various conflicts taking place in my inner world. I could not go out through any door and continued to endlessly wander around in my psychological passageway. Conflicts caused me to stay within the borders and each conflict would lead to another conflict and then another…

In the end this world of boundaries turned into a vast area and became a labyrinth with countless exits. This has often been represented through a dramatic color contrast of red and blue and a form of enumeration that took either a water surface or a mirror surface as its boundary. The contrast of opposing colors,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doors are evanescent symbols that represent such conflicts. I have illustrated the landscape within my boundaries using these symb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