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백을 만들기

 

끊임없이 찾아오는 권태와 허무를 이기는 방법이 있을까?

에서 출발하였다.

무엇엔가 집중하고 또 집중해서 집중의 대상 이외의 것을 의식에서 모두 밀어내고, 방향 없는 투명한 시간을 지나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 같았다.

삶은 매 순간 경로를 결정하고 출구를 찾는 일로 꽉 차 있다.

개인이 개입할 수 없는 촘촘한 시스템의 한 가운데 갇혀 있다는 착각을 하게 한다.

길을 만드는 방법을 찾는 것에 집중하기로 했다.

Derrida의 differance를 지침으로 ‘시간적 대기와 공간적 사이화’를 실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했다.

시스템에 틈을 만드는 것에 대하여

경계를 흐리고 투명하게 하기

복제하여 중복하기

끊어 잇기

공백을 만드는 방법을 통해 경로를 만드는 것에 대하여

그리고 그 방법을 실현하는 가장 무의미하고 나약해 보이는 예술이라는 방식으로 구원 받기를 기대한다.

사루비아 다방은 대안 공간이다.

나에게 있어서 대안은 결정적 조건에-경계, 벽, 시스템 어떤 이름으로 불리든- 공백을 만드는 것이고 공백으로 벌어진 틈은 새로운 경로이고 출구가 되는 것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서 공백을 만드는 혹은 경험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한다.

 

 

Making a Void

It all began from a question “Is there any way to overcome weariness and futility that come ceaselessly?”.

It seemed ideal to concentrate and again concentrate on something to push away anything other than ‘something’ to concentrate on from the consciousness, and pass through directionless transparent times.

Every moment in life is full of deciding a path and finding an exit.

It leads us to a delusion that an individual is trapped in the middle of a compact system.

I decided to find a way to make a path.

With Derrida’s difference as a guideline, I thought about a way to realize the ‘temporal standby and spatial gap’.

About making a gap in a system

Blur the boundary and make it transparent

Copy and duplicate

Cut and connect

About making a path through the way to make a void

 

And I expect to be saved by the way of art, which looks the most meaningless and weak in achieving it.

Sarubia Cafe is an alternative space.

 

To me, the alternative is to make a void in the definite condition, whether it is called the boundary, wall, system or any other name, and a gap opening into the void is a new path and exit.

I am presenting a way of making or experiencing a void in this exhibition.